2013년은 아마 내 인생에서 가장 화려했던 한 해로 기억될 것 같다.



<올해의 앨범>


어차피 나는 그냥 음악 듣는 사람이기에 내가 올 한해 자주 들은 앨범을 꼽았다.

예를 들자면 술탄 앨범보다는 vampire weekend나 daft punk앨범이 더 좋은 앨범이겠지...


Arcade fire - Reflektor                거장으로의 길을 가고 있다고들 평한다. 내년 글래스톤베리 공연 기대된다.

David Bowie-The Next Day         거장의 복귀. 

Foals - Holy fire                         좋아하는 앨범인데 2013 결산에 이 앨범이 들어가있는 리스트가 별로 없더라. 

Rolling stones - Great hits          올해 나온 것은 아니고. 그냥 엄청 들었다 올해에

술탄오브더디스코 - The Golden Hits    마찬가지로. 새로울 것은 없지만 여러 이유로 많이 들었다. 

   





<올해의 트랙>


올해의 트랙도 당연히 많이 들은 순서임.


1.Foals-My number 안산에서 이들의 공연은 정말 멋졌다.

2,David bowie-Valentine's day 개인취향으로는 앨범중에 이 곡이 제일 좋았다.

3.Arctic monkeys-No1 Party anthem 2013년의 후까시...

4.Arcade fire-Reflektor 앨범서 젤 좋아하는 노래 아니지만 결국 이 곡을 제일 많이 들음

5.Django Django-Default 글래스톤베리에서 가장 유쾌했던 순간

6.술탄오브더디스코-캐러번 예전부터 빨아온 밴드가 빵 터지는 걸 본 순간이었다.

7.Phoenix-Long distance call  1월에 그들을 볼 수 있다니...

8.Tame impala-Feels like we...  글래스톤베리에서 봤는데 한 번 봐서는 잘 모르겠더라 ㅋㅋ

9.The XX-Angels  XX 좋아하는 애들을 비웃던 나를 반성하게 되었다.

10.Vampire weekend-Step 올해의 앨범으로 뽑는 매체가 많다. 제일 좋아하는 트랙





<올해의 뮤직비디오>


Robin Thicke - Blurred line 



말이 뭐가 필요하겠냐. 그냥 한 번 봐라...

여기 나오는 여자분들 이름도 검색해봤었다...



<올해의 컴백>


검정치마, 국카스텐, 장기하, 언니네 이발관, 이소라, 토이.


올 해 앨범 낸다고 해놓고 아무도 안 냄...





<올해의 라이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나 여기 갔다왔다.

내년에 아시아 투어할 것 같다는데 제발 ㅠㅠ




<올해의 TV 드라마>




올해 끝까지 본 드라마 이거 하나...

My Mad Fat Diary

12월 들어서 응답하라 1994 보고 있음.

윤진이가 귀여워서. 



<올해의 음식>



최악


Hog roast sandwich - 글래스톤베리

돼지고기 냄새때문에 먹다가 버렸다


최고


Double coronary bypass burger


Double Coronary Bypass Burger @ Vortex Bar & Grill


아틀랜타에 가시게 되면 꼭 먹어보라 추천하고 싶다

사실 버거보다 에일들이 괜찮다. 맛있음


<올해의 영화>


그래비티

영화관에서 거의 안봐서...

올해 영화관에서 본게 아마 스토커, 그래비티, 에반게리온, 아워이디엇브라더, 설국열차

영화관에서 안 본 영화중에는 블루재스민이 제일 좋았다

이정도인듯?



<올해의 게임>



아... 진짜 최고임....

지금은 크리스마스 이벤트 중임.



<올해의 대변인>




 작년 아니에요. 올해에 있었던 일이에요.




<올해의 국가기관>


국정원, 사이버사령부, 경찰청





<올해의 뻘짓>





철도노조 파업에 지도부 체포를 위해.

압수수색 영장은 없이 체포영장만 가지고.

TV조선이 라이브로 방송을 하고

정수장학회가 주인인 경향신문 사옥에 있는 민주노총 사무실로 올라가면서.

한층 한층 정복해 올라갔으나.

체포하려고 한 지도부는 아무도 없었다.

그리고 의경들이 맥심을 들고 나옴...


<올해의 아스날 경기>


없다.


<올해의 두산경기>


포스트시즌 전 경기..


<올해의 야구선수>


류현진

유희관




<올해의 축구선수>


외질

램지




<올해의 AV 배우>


사쿠라 마나, 우츠노미야 시온, 스즈키 코하루




<올해의 해외여행>


네팔

터키

영국

미국




<올해의 술집>



모두들 사랑한다 말합니다.



구글에서 검색하니 바로 이 사진이 나온다.... ㅠㅠ


더불어 위 사진은 올해의 생일파티... 



<올해의 술>



Patron anejo


??

맛있는 술이 비싸다 <-> 비싼 술이 맛있다.





<올해의 섬>


자라섬.

캠핑...


<올해의 산>


안나푸르나..


사진은 에베레스트쪽...



<올해의 잘한 짓>


페스티벌에서 술 먹고 뻗지 않음.



<올해의 감사한 사람들>


저와 놀아주신 모든 분들 감사합니다. 





Posted by 빨간까마구

 

 요요가 왔다.

뭔가 근래의 일이라고 하기엔 그렇지만 아무튼 돌아왔다.


2010년 8월부터 감량 ~ 2011년 8월까지 감량해서 당시에 15kg 뺐었다.

아침 먹고 점심을 안 먹고 저녁 먹고

출퇴근 자전거 타고, 간식 안먹고, 탄산음료 안 마시고.

식사중에 탄수화물은 원래 먹는거 절반

음료수 마실때는 플레인 요거트

쉽게 뺐다. 점심 한끼 안 먹고도 나는 그럭저럭 잘 살 수 있었다.


좀 괜찮았다. 

허리 28사이즈의 바지를 입을 수 있었으며, 어떤 옷을 입어도 대충 모양이 났다.

문제는 얼굴이 폭 안되보이고 없어보이게 되었...

안그래도 못 생긴 얼굴이 없어보이니 ...


2011년 8월부터 이후로 해서 결국 2013년 12월로 15kg 다시 쪘다. 하하

2011년 8월~2012년 2월까지는 시험준비로 운동없이 스트레스 안받게 먹고 싶은거 먹고 살았는데.

3kg밖에 안늘었다... 시험 스트레스가 꽤...


2012년 3월 ~ 2013년 2월.

중간중간 몸무게가 늘었다 빠졌다 했지만 결과적으로 7kg가 쪘다.

그나마 빨리 찔 수 있었던 거.

안나푸르나 베이스 캠프 등정을 위해 운동 좀 했던게 도움이 되긴 했다.


2013년 3월 ~ 2013년 12월

5kg가 추가로 쪘다. 바지가 안 맞는다. 자도 자도 피곤하다. 얼굴이 자주 붓는다.

셔츠의 제일 윗단추가 채워지질 않아 넥타이 매는게 괴롭다.

결국 3년전에 입었다가 최근에 안 입는 바지를 다시 입는다.




문제는...

예전의 식욕과 양으로 다시 돌아갔다는거... ㅋㅋㅋ

살빠질 당시에 열심히 셋팅해놓은 나의 대식본능이 다시 돌아왔다.

남기지 못하는 거야 여전하고...


오늘 아침에 회진 끝나고.

먹고 싶은걸 적어봤더니 대략 이랬다.


자이온보트 저크치킨, 

천호시장 족발, 

공덕시장 전, 

자코비 내장파괴버거, 

과메기, 

석화, 

딥디쉬 피자 

소고기&돼지&새우 바베큐


그런데 지금 보다 보니까. 하나 빼먹었네.

방어.


지난 주에 줄이 길어 못 먹은 방어.

생각 난다. 방어.

보고 싶다 방어.



Posted by 빨간까마구

어젯밤에 나는 매우 들떠 있었다. 아니 정확하게 이야기하면 10시 30분 이후로 점점 들떠졌다.

유럽 여행을 다녀온 친구를 간만에 만났으며, 친동생도 함께 했고, 12월에 갈 여행에 대한 이야기를 했다.

물론 중요한 것은 술이었다. 술 없었으면 그렇게 들뜨지는 않았을 것 같다.

인천공항 면세점에서 사면 99달러였던 패트론 아네호가 미국면세점에서 사니 44달러밖에 안 해서 이거 하나랑 다른 데낄라를 산 것을 어제 마셨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의 위대함을 본격적으로 알게된 것은 아마도 비싼 술이 더 맛있다는 것을 알게된 이후였던 것 같다.

친구들을 만나도 왠만하면 소주를 안 마시게 되었다. 



아무튼 어제 호기롭게 맥주를 잠깐 마시고 데낄라를 바로 열었다.

아 저 아름다운 병이여...

패트론은 언제나 그렇듯이 훌륭했다. 

꼬리가 있었다면 눈을 본 강아지처럼 마구 흔들어댔을 것이다.

참 단순한 것 같다. 술만 마시면 해맑게 되니.. 

얼마나 해맑았는지 한 병을 더 깠다. 호세꾸엘뇨. 참 아름다운 이름이다. 

그리고 더 깠다. 미친...


택시를 타고 정신을 잃었다 깨보니 집 앞이었다.

다행이다라고 생각을 했는데 택시아저씨가 카드가 안된단다.

택시를 탈때 얘기를 했다고 한다. 아저씨 그 때는 저한테 얘기하신게 아니에요라고 하고 싶었지만 농담에는 때가 있다고 들었고 적절한 때는 아닌 것 같았다.

현금이 없었다. 지갑에는 2천원인가밖에 없었다.

저기 앞에 ATM에서 뽑으라고 아저씨가 권유하셨지만 그 복잡한 프로세스를 술취한 내가 행할 수 없을 것이라 생각이 들었다.

지갑에는 미국학회 갔을때 뽑아두었던 달러가 있었다.

택시비는 2만 4천원인가가 나왔고, 나는 20달러를 주며 이거로는 안되겠냐고 했다.

아저씨는 안된다고 했다.

그래서 5달러를 더 했다. 25달러. 내가 미국 출발할때 환율이면 이것도 남는 장사다.

아저씨가 안된다고 했다. 허허... 이 아저씨 밀당 장난아니네. 라고 술취한 상태에서도 생각했다.

지갑에 남은 것은 100불짜리였다. 오마이... 외쳤지만 어쩔 수 없었다.

100불도 안된다고 한다. 아저씨 제 정신이에요? 라고 하고 싶었지만 제 정신이 아닌건 나인 것 같았다.

지갑의 현금을 모두 다 줬다. 달러와 원화 모두.

그 동안 술취한 나를 납치 안 하고 곱게 데려다 주었던 택시 아저씨들에 대한 리스펙트라고 생각하기로 했다.


자취하는 집 앞으로 왔다.

본가에 가서 새벽에 어머니 산소에 가기로 했지만 김유신의 말처럼 택시는 나를 이 곳으로 데리고 왔다

이런 ... 씨8


멀쩡한 정신일때도 나는 도어록을 잘 못 연다. 어려운 프로세스이다.

술에 취해서 도어록을 못 열어 30분씩 고생한 기억이 많다. 누구나 다 그렇다고 알고 있다.

하지만 어제는 추웠다. 밖에서 떨면서 '삑삑삑삑'을 계속 누르기에는 술취해서 업된 나는 인내심이 부족했다.

문을 발로 찼다.

차고서 후회했다. 아 이 신발 내가 진짜 아끼는건데. 얼마나 아끼면 비가 올 것 같으면 무조건 안 신는데.

신발에 문에 있던 '지지'가 묻었다. 이런 씨* 망했네! 하면서 한 번 더 찼다.

주인집에서 이 소리를 듣고 나왔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지만 주인집은 5층이라 절대...

문을 더 차면 신발이 더 망가질 것 같아 그만뒀다.

택시아저씨에게 100달러도 넘게 줬는데 세상이 너무한 거 아니냐는 생각을 했다.

하지만 어쩔 수 없지 생각했다. 대안을 찾을정도로 나는 술이 좀 깼다. 병원으로 가기로 했다.

병원에 술취해서 가서 가드에게 잡힌 전력이 있었지만 괜찮다. 오늘은 좀 깼다.

가면서 노래를 불렀다. 

아무리 술에 취해있었지만 새벽 4시 반에 도어록을 못 열어서 직장에 가서 잔다는게 좀 챙피해서 노래를 불렀다.

지금 글을 쓰면서 생각하니 그냥 노래를 부르는게 더 챙피하네 허허...


걸으면서 생각했다.

할머니가 나쁜 친구 사귀면 안된다고 했을때 늘 '제 친구들은 다 착해요 내가 제일 싸가지가 없어요'했는데.

나쁜친구가 누군지 알았다. 술이었다. 아니다 생각해보니 술도 착한 것 같았다. 싸가지는 술보다는 내가 없지..


아무튼 노래를 불렀다. 그리고 당직실에 누워서 잤다.

열시에 회진을 돌자고 했었기에 병원에서 자서 다행이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나는 오후 1시에 일어났다.


Posted by 빨간까마구


흑역사

1. 가장 처음 혼자 보았던 공연과 그와 관련한 기억


중학교때부터 음악잡지를 매달 사서봤다. 당시에 잡지들에서는 이따금 애독자엽서로 추첨을 하여 공연관람초대를 하곤 하였다. 

보내면 꽤 높은 확률로 당첨이 되고는 하였는데 96년 즈음에 엠넷 또는 KMTV 개국한 후에 얼마 후에 했던 공연이었다.

노이지가든을 보러 갔었다. 대단했었다. 당시 1집 끝나고 활동중이던 김경호도 나왔었다.

혼자서 드럭도 갔는데 마침 잡지에서 취재나왔을때라 잡지 다음 호 구석에 사진이 실린적도 있었다.  


처음 본 해외아티스트는 스매싱 펌킨스의 해체선언 후에 했던 2000년 공연이었다.

대전에서 학교를 다니고 있었고 시험기간이었는데, 당일치기로 올라와서 너무 좋아서 울면서 공연 보고 내려갔던 기억이...


2. 공연을 혼자 보는 이유


타인에게 '내가 오늘 볼 밴드는 누구고 어떤 음악을 하고 몇 명이고...' 등등을 설명하기 귀찮다.

소싯적에는 음악을 전도하겠다하며 친구들에게 소개도 하고 같이 가자고 해서 다니기도 했지만 

내가 좋아하는 음악에 대해서 타인(=아마도 어린 내 기준에 뉴비)에게 안 좋은 소리를 듣는게 좋지는 않았다....는건 거짓말이고.

여자친구가 없어서 혼자 다녔음.


3. 혼자 공연을 보다가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

 

GMF에 혼자 가본 적 있는가? 그 커플들 사이에서 홀로 공연을 보며 고고하게  다녀본 적이 있는가?

결국 그 날 친동생을 만나 GMF를 끝까지 홀로 보지는 않았지만.

주위의 커플들을 저주하면서 우리는 틴에이지 팬클럽에 맞춰서 슬램을 했었다. 


4. 공연 외에 혼자 하는 것들이 있다면? (예. 영화, 쇼핑 등)


질문이 잘 못 된것 같다. 공연을 혼자 본다면 다른 것들도 다 혼자 하는것 아닌가? ㅎㅎ

영화는 혼자보면 좋다. 예매 안 하고 늦게 가도 혼자 좋은 자리 앉을 수 있다.

쇼핑도 혼자하면 좋다. 옆에서 누가 쫑알쫑알하는 것 듣지 않아도 된다.

만화도 혼자보면 좋다. 야한것도 막 봐도 됨. ㅇㅇ

여행도 혼자가면 좋다. 안싸워도 되니까.

다만 국내 여행 혼자 갔을때 좀 안타까운 것은 맛집들에서 나오는 음식들은 1인분이 없다. 

벌교에 가서 꼬막정식을 1인분만 시킨다고 하니 한 5군데에서 퇴짜를 맞았었다. 


5. 이 공연은 혼자 봐서 좋았다 (+이유)


혼자봐서 좋은건 역시 보면서도 guilty pleasure를 느끼는 공연들인것 같다. 

다른 사람들에게 이 밴드를 내가 좋아한다는 것 자체가 약간 숨기고 싶은 밴드들의 공연에서 슬쩍 눈물을 흘릴때는 혼자라서 다행이다라는 생각이 든다.

boys don't cry ㅠㅠ 


6. 이 공연은 혼자 봐서 싫었다 (+이유)


사실 공연을 혼자서 보지 않은게 얼마 안되어서 그런지 예전엔 혼자 봐서 싫다는 생각을 가져본 적은 없었다.

하지만 요즘에는 거의 누군가와는 같이 다니게 되니까 배가 불러서인지 혼자서 보니까 좀 별로더라.

올해 weezer의 지산에서의 공연은 혼자 봤는데, 마침 그날 비도 오고, weezer형들도 늙었고, 나도 늙었다는 생각도 드는데 혼자니까 문득 들어서 슬퍼지긴 했었다. 


7. 페스티벌은 어떤가요? (혼자 간 적이 있다면, 그 이야기. 없다면 혼자 안 가는 이유 등등)


페스티벌도 혼자서 많이 다녔다. 해외 페스티벌도 혼자 본 적이 있었고 국내의 GMF, 밸리락, 펜타포트, 글로벌개더링 등등도 혼자였다.

GMF의 이야기는 그만하겠다. 매해 커플들을 욕하면서도 나는 GMF 개근생이다... ㅠㅠ

주말에도 출근을 해야하기에 밸리락도 서울에서 당일에 퇴근해서 공연 끝나면 바로 올라와서 출근하고는 했었다.

거의 대부분의 공연은 재미있게 봤지만, 별로였던 공연을 보고 서울까지 80km를 운전해서 오는 길에서는 '내가 왜 이러고 사나'하는 씁쓸한 마음도 들었다.

하지만 차라리 그게 나았던 것이 한번은 밸리락 공연이 끝난 후 바로 다음날 출근할 필요가 없어서 인근 모텔에 간 적이 있었다.

문제는 모텔에 침대 옆 그리고 천장에 전신거울이 달려있었다는것이었다. 

욕실가운을 입은 내가 혼자 누워있는 모습을 보는 것은 정말 고역이었다. ㅠㅠ


8. 혼자 공연을 보는 사람으로서의 로망이 있다면?


위의 모텔의 거울에 나말고 다른 사람도 같이...는 아니고.

스테이지 다이빙 좀 창피해서 혼자 갈때 언제 한 번 해보고 싶은데. 그러면 또 사진을 찍어줄 사람이 없으니 ㅠㅠ

그냥 늙어죽을때까지 공연을 혼자 보는것을 창피해하지 않는 내가 되었으면 좋겠다.  

Posted by 빨간까마구


 1월


1월 23일 비치하우스

1월 26일 음주측정라이브

               얄개들, 구남, 404, 쾅프로그램, 기린, 포브라더스


 2월


2월 3일 MBV

2월 14일 재팬드로이즈

2월 16일 더티비치스


 3월


3월 15일 자립마켓

              파블로프, 야마가따 트윅스터, 스팀보이즈, 꿈에 카메라를 가져올걸, 김간지X하헌진

3월 23일 그라임스

3월 29일 꽃땅

              404, 모임별, 속옷밴드, 트램폴린, 아마츄어 증폭기, 헬리비전


 4월


4월 27일 크라프트베르크


 5월


5월 12일 텔레비젼 , 장기하


 6월


6월 7일 레인보우페스티벌

               트래비스     

6월 26일~30일 글라스톤버리 페스티벌 

               따로 포스팅


7월 


7월 13일 SOD fest

7월 26~28일 안산밸리락

               따로 포스팅 예정


8월


8월 2일, 4일 지산 월드락 

               위저, 자미로콰이, 브로컬리 너마저, SOD

8월 3일 펜타포트

               글라스베가스, 스웨이드

8월 14,15일 슈퍼소닉

              펫샵보이즈, 투도어시네마클럽, 조용필, 어쓰 윈드 앤 파이어

8월 17,18일 현대카드 시티브레이크

              이기팝, 라이즈 어게인스트, 림프비즈킷, 메탈리카, 뮤즈, 신중현, 김창완


9월


10월


10월 3일 쌈싸페

10월 5일 킬러스

10월 19일 GMF


11월 1일


11월 1일 서영도, 윤석철, 세컨세션

11월 16일 레세일즈, 테이블 피플

11월 28일 프란츠 퍼디난드

Posted by 빨간까마구